- 데이터를 보내는 과정을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 상위계층에서 Data Flow Layer로 내려보내면서 패킷에 데이터를 넣을 수 있도록 분할하는 과정
- 랜 카드에서 전기 형태로 변환되어 전송
- 데이터를 받는 과정을 디캡슐레이션(Decapsulation)
- 전기 신호를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상위 계층으로 올리는 과정
- 이 패키들을 조합해 데이터 형태로 만드는 과정
인캡슐레이션과 디캡슐레이션 과정을 통해 데이터가 전송되는 과정
계층 | 데이터 | 계층 | ||||
트랜스포트 계층 (Transport) |
4계층 PDU (세그먼트) | 트랜스포트 계층 (Transport) |
||||
4계층 헤더 | 상위 데이터 | |||||
네트워크 계층 (Network) |
3계층 PDU(패킷) | 네트워크 계층 (Network) |
||||
3계층 헤더 | 상위 데이터 | |||||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
2계층 PDU(Frame) |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
||||
2계층 헤더 | 상위 데이터 | FCS | ||||
피지컬 계층 (Physical) |
============ 0 1 0 0 1 1 1 0 1 0 1 1 1 0 1 0 0 1 0 1 ===========> | 피지컬 계층 (Physical) |
||||
인캡슐레이션 | 디캡슐레이션 |
- 각 계층에서 추가한 헤더 정보는 각 계층에 대응되는 계층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 즉, 헤더 정보는 각 계층끼리 전달된다.
인캡슐레이션
- 네트워크상황을 고려해 적절한 크기로 자른다.
- 4계층부터 네트워크 전송을 위한 정보를 헤더에 붙여 넣는다.
- 헤더 정보는 4계층, 3계층, 2계층에서 각각 자신이 필요한 정보를 추가한다.
- 추가할 땐 문자가 아닌 미리 정의된 비트 단위(0 or 1)를 쓴다.
- 각각 계층에서 필요한 헤더 정보를 추가하고 2계층으로 전달한다.
- 2계층에서도 추가하고 전기 신호로 변환해 수신자에세 전송한다.
디캡슐레이션
- 받은 전기 신호를 데이터 형태로 만들어 1계층으로 올려보낸다.
- 2계층에서는 송신자가 작성한 2계층 헤더에 포함된 정보를 확인한다.
- 목적지가 자신이 아니라면 버리거나 3계층으로 이 정보를 올려 보낸다.(랜 카드 역할)
- 2계층의 헤더 정보는 더 이상 필요없으므로 벗겨내고 올려준다.
- 3계층에서도 헤더 정보를 확인해 자신에게 온 것이 맞는지 확인한다. 맞으면 벗겨내고 올린다.
- 4계층에서도 헤더 정보를 확인하고 버리거나 헤더 정보를 제거하고 애플리케이션에 올린다.
헤더 필수 내용
- 현재 계층에서 정의하는 정보
- 상위 프로토콜 지시자
계층 헤더 | 목적 |
4계층 | 1. 큰 데이터를 잘 분할하고 받는 쪽에서 잘 조립한다. 2. 빠진 패킷은 없는지 점검하고 이 정보를 헤더에 적어둔다. 3. 시퀀스, 애크 번호 필드로 이 데이터를 표현한다. |
3계층 | 3계층에서 정의하는 논리적인 주소인 출발지, 도착지, IP주소 넣는다. |
2계층 | MAC 주소를 정의하고 출발지, 도착지 MAC주소를 넣는다. |
'Network > Network Composi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잘 알려진 상위 프로토콜 지시자 (이더 타입) (0) | 2022.10.14 |
---|---|
잘 알려진 상위 프로토콜 지시자 (포트 번호) (0) | 2022.10.14 |
잘 알려진 상위 프로토콜 지시자 (프로토콜 번호) (0) | 2022.10.14 |
OSI 7계층별 특징 및 이해 (2) | 2022.10.13 |
Protocal (프로토콜) 이란 (0) | 2022.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