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STNAME 변경>
- hostnamectl set-hostname 명령어를 통해 HOSTNAME을 변경해준다.
elastic@elastic:~$ sudo hostnamectl set-hostname elastic-2
elastic@elastic-2:~$ echo ${HOSTNAME}
- HOSTNAME이 ‘elastic’에서 ‘elastic-2’로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포트포워딩>
elastic@elastic-2:/etc/netplan$ sudo vi 00-installer-config.yaml
- 이전에 [Preferences..]에서 설정해준 Port Forwarding Rules를 ‘elastic-2’에 적용하기 위해 00-installer-config.yaml파일을 수정한다
- ‘elastic-2’의 host IP인 10.0.2.9와 host Port인 24를 addresses에 입력해준다.
<Elasticsearch-8.2.0 압축 해제>
- ‘tar xfz’명령어를 통해 elasticsearch-8.2.0-linux-x86_64.tar.gz 압축 해제해준다
elastic@elastic-2:~$ tar xzf elasticsearch-8.2.0-linux-x86_64.tar.gz
Elasticsearch-common 및 하위 폴더 생성
- elasticsearch 원본 폴더 내 파일을 잘못 수정하는 불상사를 방지하기 위해 사전에 ‘elasticsearch-common’ 폴더를 생성하여 작업을 진행한다.
elastic@elastic-2: ~$ mkdir elasticsearch-common
elastic@elastic-2: ~$ cd elasticsearch-common/
- ‘mkdir’명령어를 통해 폴더를 생성한다.
elastic@elastic-2: ~/elasticsearch-common$ mkdir data
elastic@elastic-2: ~/elasticsearch-common$ mkdir logs
- 하위 폴더인 ‘data’와 ‘logs’를 생성한다.
elastic@elastic-2: ~/elasticsearch-common$ cp -r ./config/
../elasticsearch-common
- 원본 elasticsearch 폴더의 하위 폴더인 config를 ‘elasticsearch-common’폴더로 복사한다.
- ls 명령어를 통해 ‘elasticsearch-common’에 ‘config’, ’data’, ’logs’폴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Elasticsearch.yml 파일 수정>
elastic@elastic-2: ~/elasticsearch-common/configs $ vi
elasticsearch.yml
cluster.name: es-cluster 로 변경
node.name: ${HOSTNAME} 으로 변경
path.data: /home/elasticsearch-1/elasticsearch-common/data
path.logs: /home/elasticsearch-1/elasticsearch-common/logs
elastic.name: 자신이 생성할 cluster의 이름
path.data: elasticsearch에 저장된 데이터를 어디에 저장할지에 대한 경로
path.logs: elasticsearch log를 어디에 저장할지에 대한 경로
elasticsearch-1@elasticsearch-1:~/elasticsearch-common/config$
echo ${HOSTNAME} 명령어를 통해 HOSTNAME을 알 수 있다.
<ntoken.txt 파일 복사>
- ‘elastic-1’에서 만든 ntoken.txt 파일을 ‘elastic-2’로 보내는 작업이다.
elastic@elastic:~/elasticsearch-8.1.0$ scp ntoken.txt elastic@10.0.2.9:~/elasticsearch-8.2.0
환경변수 추가
lastic@elastic-2:~/elasticsearch-common/config$ sudo vi ~/.bashrc
ES_PATH_CONF=~/elasticsearch-common/config
ES_HOME=~/elasticsearch-8.2.0
- bashrc 파일 마지막 줄에 해당 명령어를 작성해준다.
- 해당 작업은 환경변수에 ES_HOME, ES_PATH_CONF를 추가해주는 것이다.
elastic@elastic-2:~/elasticsearch-common/config$ source ~/.bashrc
elastic@elastic-2:~/elasticsearch-8.2.0$ echo $ES_PATH_CONF
- source 명령어를 통해 변경사항을 적용해주고, 정상적으로 바뀌었는지 echo 명령어를 통해 확인한다.
<VM의 max_map_count 변경>
elastic@elastic-2:~/elasticsearch-8.2.0$ sudo sysctl -w
vm.max_map_count=262144
elastic@elastic-2:~/elasticsearch-8.2.0$ sudo vi /etc/sysctl.conf
- 맨 마지막줄에 vm.max_map_count=262144 입력한 후, 저장한다.
<Elasticsearch 실행>
elastic@elastic-2:~/elasticsearch-8.2.0$ ES_PATH_CONF=$ES_PATH_CONF ./bin/elasticsearch
- 해당 명령어를 통해 elasticsearch를 실행한다.
- ‘elastic-2’ node의 환경설정이 모두 완료되었다.
- ‘elastic-3’ node에도 이와 동일하게 작업을 해주면 된다
'Elastic > Elastic Search 서버 설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Kibana 설치 및 환경설정 (0) | 2022.07.16 |
---|---|
4) 각 node Port Forwarding 및 세부 설정 (0) | 2022.07.15 |
3) Elasticsearch 설치하기(Clone 설정, 환경설정) (0) | 2022.07.15 |
2) ElasticSearch 설치(Port Forwarding) (0) | 2022.07.15 |
1) Ubuntu에 엘라스틱 설치하기 : VM에서 Elastic node 생성 (0) | 2022.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