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축 예정 아키텍처이다.
1) Terraform을 동작할 bastion 생성 후 연결하기
vscode -> ssh remote plugin -> ssh ec2-user@Public IP
VScode에서 Terraform + AWS CodeWhisperer 계정 연결하기
1. AWS에서 Terraform용 EC2 생성VPC / Subnet / Routing Table / Internat GW / Nat GW 가볍게 생성 후 EC2 생성EC2 보안그룹은 접속할 IP의 22Port를 열어두자 2. VScode에서 AWS EC2에 연결1. Remote - SSH #플러그인 설치 1. VSc
seongduck.tistory.com
참조
2) AWS CodeWhisperer + Amazon Q 연동
aws toolkit install Plugin
다운로드 완료시 하단에 Sign in
Amazon Q 세팅 완료
3) Bastion서버에 Terraform 설치
wget https://releases.hashicorp.com/terraform/1.7.4/terraform_1.7.4_linux_amd64.zip #다운로드
unzip terraform_1.7.4_linux_amd64.zip //압축해제
sudo mv terraform /usr/local/bin #환경 변수 설정
terraform --version #설치 제대로 됐는지 확인.
sudo yum install tree #코드 보기 편리하기 위해 tree 설치
tf파일 커스텀은 다음을 참조
AWS Terraform Setting (alias 등록, tree 명령어 사용, vim.ts 커스텀)
alis 등록vi ~/.zshrc 맨아래 alias t="terraform" tree 명령어 사용sudo yum update sudo yum install tree .ts 파일 vim 커스텀 하기mkdir temp cd temp git clone https://github.com/hashivim/vim-terraform cd vim-terraform cd syntax mkdir -p ~/.vi
seongduck.tistory.com
vi provider.tf
"""
provider "aws" {
region = "ap-northeast-2"
}
"""
terraform init #파일 지정
'Cloud Infra Architecture (AWS) > AWS 자동배포'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Linux2023에 Jenkins 설치하기 (0) | 2024.07.17 |
---|---|
AWS Amazon Linux(EC2)에서 gitlab 설치하기 (0) | 2024.07.17 |
terraform 기본 인프라 생성하기 (key pair, ec2, security group) (0) | 2024.06.24 |
terraform 기본 인프라 생성하기 (vpc, igw, nat, subnet, routing table) (0) | 2024.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