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 Infra Architecture (AWS)/AWS SAA-C03

AWS Route 53이란?

seongduck 2023. 1. 13. 00:10

DNS (Domain Name System) & Route 53

  • DNS는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도메인 이름 (www.naver.com)을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IP주소 (192.0.2.44)로 변환하는 시스템
  • Route 53은 AWS에서 제공하는 DNS 서비스
  • Route 53의 기능은!?
    • 퍼블릭 도메인 구매 또는 이전 (.com, .net, .co.kr)
    • AWS 내부 VPC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프라이빗 도메인 생성
    • 라우팅 정책 적용 (단순 라우팅, 가중치기반, 지리적위치, 지연시간, 장애조치, 다중값 응답)

 

 

Domain Level이란?

출처 : AWS Cretified Solutions Architecture

이렇게 도메인은 각 부위별로 이름이 있다.

 

 

DNS Resolution 동작하는 구조

  1.  유저가 앤드포인트로 웹에 접속한다. (www.example.com)
  2. www.라는 DNS 이름을 적으면 DNS resolver가 IP주소로 변경해준다. 즉, 이 주소에 대한 요청이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 (ISP)가 관리하는 DNS 해석기 (DNS Resolver)로 라우팅
  3. ISP의 DNS 해석기는 www.example.com에 대한 요청을 DNS Root Name Server에 전달한다.
    1. Root Level Domain 부분 .을 해석하고 그 앞에 문자인 .com(Top Level Domain)서버로 보낸다.
  4. ISP의 DNS 해석기는 www.example.com에 대한 요청을 이번에는 .com 도메인의 TLD Name Server에 다시 전달한다. .com(TLD) 도메인의 네임 서버는 그 앞의 문자인 example.com 도메인과 관련된 Amazon Route 53 네임 서버의 이름을 사용하여 요청에 응답한다.
    1. Top Level Domain 부분 .com을 해석하고 그 앞의 문자인 example (Second Level Domain)서버로 보낸다.
  5. ISP의 DNS 해석기는 www.example.com에 대한 요청을 Amazon Route 53의 해당 네임 서버에 전달
  6. Amazon Route 53 Name Server는 example.com 호스팅 영역에서 www.example.com 레코드를 찾아 웹 서버의 IP 주소 192.0.2.44 등 연관된 값을 받고 이 IP 주소를 DNS 해석기로 반환
  7. ISP의 DNS 해석기가 그동안 위의 DNS인 www.example.com의  IP주소를 웹 브라우저로 반환한다. 또한 DNS 해석기는 다음에 누군가가 example.com을 탐색할 때 좀 더 빠르게 응답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지정하는 일정기간 동안 example.com의 IP 주소를 캐싱(저장), TTL반환
  8. 웹 브라우저는 DNS 해석기로부터 얻은 IP 주소로 www.example.com에 대한 요청을 웹서버로 전송
  9. 192.0.2.44에 있는 웹 서버 또는 그 밖의 리소스는 www.example.com의 웹 페이지를 웹 브라우저로 반환하고 웹 브라우저는 이 페이지를 표시

 

이런식으로 DNS Resolution이 동작한다.

7.에서 Route 53이 반환할때 TTL을 사용하는데 자세히 알아보자

 

 

Route 53 - TTL이란?

  • DNS Recursive Resolver (ISP 업체가 운영하는 DNS 재귀적 리졸버)가 이 레코드에 관한 정보를 캐싱할 시간(초)
  • TTL 시간은 임의적으로 정할 수 있다.

  • Resolver가 DNS를 요청하면 Route 53에서 IP를 반환하면서 TTL를 함께 반환한다.
  • Resolver는 이 값을 가지고 있다가 TTL 시간 (300초) 지난 후에 다시 DNS를 재요청한다.
  • 즉 이 내용이 살아있는 시간을 300초로 생각하면 된다. (TTL)
  • 그리고 다시 응답은 TTL에 써 있는 것처럼 300초뒤에 오고 한다.

 

DNS 레코드 유형

  • DNS 레코드를 통해 트래픽을 도메인에 라우팅하는 방식을 Domain Name System(DNS)에 알려줌
  • A - 도메인 네임을 IPv4 주소로 라우팅 (www.google.com를 입력해서 접속시 192.100.10.1 로 접속)
  • AAAA - 도메인 네임을 IPv6 주소로 라우팅
  • CNAME - 도메인 네임을 도메인 네임으로 라우팅 (site.google.com으로 접속시 blog.google.com로 접속)
  • ALIAS - 도메인 네임을 AWS 리소스로 라우팅 (www.google.com => AWS EC2)
  • MX(Mail eXchanger) - 이메일 서버연동시 메일의 소유를 확인하기 위한 레코드
  • NS(Name Server) - DNS 레코드를 가진 DNS 서버를 식별하기 위한 레코드
  • SOA(Start Of Augthority) - 도메인의 정보와 권한을 가진 레코드

 

NS와 SOA의 경우 DNS 처음 만들때 기본적으로 할당된다.

 

실습


  1. Route 53 서비스에 접속한다.
  2. 도메인을 만들어주거나 설정해야한다.
  3. 왼쪽의 [도메인]을 통해 [도메인 등록]을 진행한다.

 

겹치지 않는 Public Domain을 적어주고 사용가능한지 여부 확인후 선택한다.

 

이렇게 가격을 주고 구매해서 도메인을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도메인을 생성했으면

이부분에 도메인이 생길 것이다.

 

생긴 부분을 클릭해서 들어가면 유형 NS인 부분에 오른쪽 주소들이 보이는데 이 주소들이 Route 53의 도메인 주소들이다.

 

SOA의 유형은 도메인 정보 및 권한을 가진 서버다. 소유권 및 기타설정 정보를 가지고 있다.

위에서 말햇듯이 NS 및 SOA는 기본적으로 자동적으로 생성된다.

추후 레코드를 추가하여 트래픽을 라우터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