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센터내에서 스토리지간 아키텍처
- Standard - Active (S-A)형태로 구성하되, 운영 스토리지 에러시 백업 스토리지가 Active되어 역할 수행
- 백업 스토리지는 백업 볼륨만 할당
- 운영 스토리지는 운영 볼륨과 백업 볼륨 할당
- 운영 스토리지와 백업 스토리지 간 데이터 전달은 SnapShots를 이용
- 저비용 고효율
- 운영 스토리지 운영 볼륨은 내부 복제 솔루션에 의해 백업 볼륨에 백업 된다.
- 운영 스토리지의 백업 볼륨은 스냅샷을 통해 백업 스토리지의 백업 볼륨으로 이동한다.
- 스냅샷을 받은 백업 스토리지는 이를 통해 원본 백업 볼륨을 복구한다.
- SAN 스위치 이중화로 운영 스토리지가 중단됐을 경우, 녹색 선을 통해 백업 스토리지가 주 스토리지로 변경된다.
SnapShots 개념은??
- 스냅샷 진행시 백업 볼륨 자체를 스냅샷 찍는 것이 아닌 주소를 기억(포인터)
- 그 주소를 전달
- 스냅샷을 받은 쪽에서 복구를 진행
- 주소 따라 원본이 존재하는 백업 볼륨으로 찾아가 내용 확인
- 원본을 그대로 확인
- 위의 내용들을 백업 진행
- 주의! 스냅샷은 백업이 아닌 원본 대상의 주소지를 통해 복구하므로 원본이 망가지면 복구 데이터도 훼손!
주 센터와 재해복구센터 스토리지간 아키텍처
- 주 센터의 운영 스토리지(Active)와 재해복구센터(DR 센터)의 DR 스토리지(Active)연결
- 주 센터의 스토리지가 모두 중단됐을 경우 DR 센터의 스토리지가 운영 스토리지가 되어 운영
- DR 센터의 스토리지는 운영 볼륨만 할당
전체적인 스토리지와 백업장비 아키텍처
- VTL(디스크 백업), LTO(테이브 백업)을 하기 위해서는 SAN 스위치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함
VTL과 LTO를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 VTL 백업 방식
VTL 백업 방식
VTL 백업 방식전에 VTL이 무엇인지 살짝 알아보고 가자 1. VTL이란? Virtual Tape Library의 약자로써 데이터의 백업 및 복구를 위해 가상화 기술을 이용하여 디스크들을 마치 하나의 Tape처럼 인식하여 차
seongduck.tistory.com
- LTO 백업 방식
LTO(PTL) 백업 방식
LTO 백업 방식전에 LTO가 무엇인지 살짝 살펴보자. 1. LTO란? Linear Tape-Open의 약자로써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기 테이프의 매체 규격이다. 요즘은 VTL (Virtual Tape Library)의 등장으로 LTO이 PTL (Physical Tape L
seongduck.tistory.com
- DWDM이란?
DWDM이란?
DWDM은 Dense Wavelength Division Miltiplex의 약자로써 파장 분할 다중화 기술을 뜻한다. 하나의 광 케이블에 다른 파장의 빛을 통해 여러 채널을 만드는 동시에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왜? 등장?
seongduck.tistory.com
'Cloud Infra Architecture (AWS) > Storage - Backup' 카테고리의 다른 글
VTL 백업 방식 (0) | 2022.12.20 |
---|---|
LTO(PTL) 백업 방식 (0) | 2022.12.20 |